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88

조선 시대, 왕의 북벌 추진과 신하들의 반대

조선 시대, 왕의 북벌 추진과 신하들의 반대 『성상(임금을 높이 부르는 말)이시여, 고구려를 침공하다 패퇴한 당 태종의 고사를 잊으셨습니까!』 당나라 황제 이세민은 청년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수나라 말기의 여러 전장을 누비며, 마침내 통일 제국 당나라를 세우는 데 크게 일조하였다. 이세민은 수나라 말기의 혼란한 정세 속에서 나타난 여러 군웅들을 토벌하였고, 또한 돌궐을 정벌하고 서역을 원정하는 등 제국의 영향력을 서북방 변경에 떨쳤다. 그러나 이세민은 자신이 성공적으로 완수하지 못한 사업이 있었으니... 그는 10만여 명이 넘는 대병으로 고구려 원정을 감행하였고, 천하의 뛰어난 무장들 역시 원정에 참여하였다. 물론 이때 고구려는 요동 지역의 방어선이 붕괴되는 등 막대한 타격을 입었지만, 이세민은 안시성.. 역사 2020. 10. 16.

조선 시대, 초기 부국강병을 꿈꾼 군주와 관료들

조선 시대, 초기 부국강병을 꿈꾼 군주와 관료들 고려 말기, 이성계의 활약 고려 말기, 수없이 많은 이민족의 준동으로 고려 왕조는 몰락의 길을 걷고 있었다. 홍건적 20만의 침공으로 고려 왕조는 수도가 함락되기도 했고, 왜구의 계속된 침공으로 전라도와 경상도의 해안가 지방이 쓸쓸해졌고, 내륙 지방까지 왜구가 준동했다. 그때마다 고려 왕조는 이성계를 찾았으니, 이성계 군대는 이 난세에서 그야말로 천군만마와도 같았다. 1380년, 이성계가 이끈 친병(親兵)이 황산에서 1만여 명의 왜구를 대파했는데, 고작 70여 명의 왜구가 살아서 도망쳤다. 이성계는 항상 출정할 때마다 전장에서 소라로 만든 군사 악기를 부르게 했는데, 이는 이성계 군단의 트레이드 마크였다. "저 소리는... 이것은 이성계의 차거(硨磲)로 만.. 역사 2020. 10. 15.

우리가 자주 사용 하는 단어의 어원

우리가 자주 사용 하는 단어의 어원 수작 (酬酌) 갚을 수, 따를 작. 이건 낯선 이들이 술잔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것을 말한다. 처음 보는 사람끼리 술잔 주고받으며 통성명을 하는 매우 건전한 뜻이지만 요즘은 다른 안 좋은 의미로도 사용된다. 변명(辨明) 원래는 ‘사리를 분명하게 밝힌다’는 의미다. 그런데 요즘은 ‘자기의 잘못을 덮으려고 하는 말'의 의미다. 내가 사리를 분명하게 밝힌다고 말한 적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소. 근데 요즘은 이런 대답이 너무 많다. 근사해~! (近似 해) 원래 비슷하다는 뜻이다. 근사치에서의 근사와 같다. 근데 이게 ‘어떤 멋진 기준과 비슷하다’는 의미로 쓰이면서 ‘아주 좋다’는 뜻으로 발전했다. 왜냐고? 동양인들, 특히 일제시대 때 뭘 만들거나 창조한 다음에 일본인.. 생활 2020. 10. 14.

사람들이 바라는 여행지 그리고 현실

사람들이 바라는 여행지 그리고 현실 중국 만리장성 이탈리아 피사의 탑 그리스 산토리니 섬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루 해변 이집트 카이로 기자의 피라미드 영국 윌트셔 스톤헨지 인도 타지마할 무덤 프랑스 파리 에펠탑 공원 이탈리아 베니스 곤돌라 여행 몰디브 해변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 모나리자 에베레스트 등반 태국 해변가 이탈리아 스페인계단 뉴욕 센트럴파크 바티칸 시티 이탈리아 트레비 분수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중국 자금성 덴마크 인어동상 미국/캐나다 나이아가라 폭포 태국 롱쿤사원 미국 애리조나 앤텔롭 협곡 일본 아라시야마 대나무숲 캐나다 밴쿠버 카필라노 다리 인도 콜카타 하우라다리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사원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이집트 아스완 아부심벨 신전 추천 글 우리가 자주 사용 하는.. 생활 2020. 10. 13.

영국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기업들

영국의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기업들 1. 롤스로이스 전 세계 항공, 선박 엔진 시장의 약 40%를 점유하고 있는 기업. 콩코드 여객기, A380, F35B 전투기에도 롤스로이스 엔진이 사용됐다. 2. ARM 컴퓨터의 CPU와 같이 핸드폰, 가전에도 프로세스가 들어가는데 전세계 모바일의 90%, 태블릿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기업. 특이하게 직접 프로세스를 생산하지 않고, 설계 라이센스, 로열티만으로 수익을 내는 회사.. 삼성 핸드폰도 ARM 프로세스의 설계를 받아 생산하고 있다고 한다. 3. 에이맥 홀딩스 전세계 엔지니어링 설계시장을 미국 Bechtel & CH2M HILL과 양분하고 있는 기업. 인천대교 총2조5척억원 공사비 중.. 책상에 앉아서 팬만으로 1조 2천억 원을 가져갔다고 한다. 4. .. 시사 2020. 10. 12.

엠스 전보사건 - 외교의 천재, 비스마르크가 일으킨 사건

엠스 전보사건 - 외교의 천재, 비스마르크가 일으킨 사건 1. 으르렁대던 프랑스와 프로이센 1848년 12월 선거에서 프랑스 최초의 대통령으로 선출된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3세)은 얼마 지나지 않아 국민의 지지에 힘입어 쿠데타를 일으키고 큰아버지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이은, 프랑스의 두 번째 황제로 취임했다. 어린 시절부터 황제의 꿈을 가지고 있었던 그는, 국내 정책과 대외 정책에서 주도권을 쥐고 나서 빈 회의에서의 치욕을 딛고 프랑스 제국의 영광을 되살리려고 노력했다. 프랑스 민족의 위대함을 역설하며, "만약 다른 국가들이 어떤 것을 얻으면, 프랑스도 역시 뭔가를 얻어야 한다." 라고 주장했다. 실의에 빠져 있던 프랑스 국민들은 그를 '돌아온 나폴레옹 황제'로 여기며 열렬히 환영했다. 이어 크림전쟁.. 역사 2020. 10. 11.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전쟁 - 시스플라티나 전쟁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전쟁 - 시스플라티나 전쟁 1. '동방 주'(Eastern Province)를 둘러싼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의 대립 남미대륙에는 다들 잘 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강을 댈 때 나일 강과 1,2 순위를 다투는 '아마존 강'이 있다. 근데 대륙의 5시 방향에는, 아마존강에 묻혀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라플라타 강' 이 있다. 참고로 '이과수 폭포'는 이 강의 분지인 이과수 강에 위치해 있다. 이 라플라타 강은 스페인 정복시대부터 외부에 본격적으로 알려졌는데, 이 유역의 은을 대서양으로 실어 나르는 과정에서 강 하구에는 여러 대도시가 발달했다. 위의 지도에서 강 하구 부근을 확대한 그림이다. 아르헨티나의 수도인 '부에노스 아이레스'와 우루과이의 수도 '몬테비데오'가 보인다. 강 동쪽에 위치한.. 역사 2020. 10. 10.

파나마와 니카라과의 '대운하 경쟁'

파나마와 니카라과의 '대운하 경쟁' 1. 대운하의 탄생과 니카라과의 좌절 '파나마'와 '니카라과'는 멕시코 밑에 '중앙아메리카'(Central America)라고 묶여있는 나라들에 속해 있다. '파나마'는 1514년 스페인 식민지가 되었다가 1821년 독립, 콜럼비아 동맹에 자발적으로 속하지만 1903년 미국의 지원 아래 콜럼비아에서 독립했다. '니카라과'는 16세기 스페인 식민지였다가 1821년 멕시코와 함께 독립, 1823년 멕시코에서 떨어져 나와 1838년까지 중앙아메리카 연방(과테말라,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에 속해있다가 여기서 맨 처음 탈퇴했다. 16세기 초 중앙아메리카 지역에 운하를 건설하려는 발상이 처음으로 나왔다.(남아있는 기록 중 제일 오래된 것은 1524년 에르난.. 역사 2020. 10. 8.

포르투갈의 1755년 리스본 대지진

포르투갈의 1755년 리스본 대지진 신을 믿는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그 신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신에게 정의가 있고 신도들을 사랑한다면 어떻게 죄 없는 사람들을 이토록 비참하게 죽음으로 몰아넣었는가... 모든 불행의 시작이 신의 권위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만행이라면 나는 신을 믿지 않겠다. - 볼테르 '대지진'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리히터 규모 진도 9(= 교량 파괴, 대형 구조물 파괴)의 강진은 황금의 제국,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을 덮쳤다. 리스본은 파괴되었고 시민 27만 명 중 최소 2만 5천 명이 사망했다. 가톨릭의 나라, 포르투갈은 이 국가적 재앙을 무엇으로 해석했으며 또한 과연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1. 1755년 11월 1일, 운명의 날 - 땅, 불, 물에 의한 심판 포르.. 역사 2020. 10. 6.

조선의 왜구 토벌 작전, 대마도 정벌

조선의 왜구 토벌 작전, 대마도 정벌 왜구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왜구는 '일본인 해적'을 의미한다. 한 정부의 명령에 통제를 받아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군대가 아닌, 그냥 별개의 집단이라는 것이다. 대마도나 일본 본토에 거점을 잡았던 왜구들은 식량이 부족하거나 심심할 때 한반도에 상륙해서 연안 지역에 피해를 줬다. 조선이 나름 대마도 정벌 과정에서 조선군의 피해도 있었지만, 그래도 초기 조선사에 있어서 큰 의의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다룰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조선의 기본적인 국방 정책은 '왠만하면 평화로 가되, 필요하면 정벌은 한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 주로 여진과 왜구에게 적용되는 방식이었다. (명나라와는 실질적 이익을 담보로 한 실용적 사대 관계) 조선은 고.. 역사 202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