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14

병자호란 당시 청에게 포위당한 남한산성 전투 당시의 조선군 병자호란 당시 청에게 포위당한 남한산성 전투 당시의 조선군 청군의 남한산성 포위는 계속되고 있었고, 그동안 소규모 접전에서 조선군은 수십 명의 청군을 사살했다. 청군은 1636년 12월 23일, 1만여 명의 대군을 동원해 남한산성 전체를 포위하며 대대적인 공세를 가했다. 조선군 장군이 뛰어와 인조에게 아뢰기를, "전하, 오랑캐의 공세가 재개되었는데, 그 수가 1만여 명에 달합니다!" 인조가 이르기를, "내가 직접 성벽으로 거동해 오랑캐와 싸우는 군사들을 위로하겠다. 융복(임금이 입는 군복)을 가져오라!" 인조는 융복 차림으로 성벽으로 거동했고, 왕이 전장에 몸을 드려내자 조선군은 모두 엎드려 절을 했고, 어떤 조선군은 눈물을 흘리며 엎드려 있었다. "저희들은 모든 힘을 다해 오랑캐의 목을 베어 반드시 전.. 역사 2020. 10. 22.
조선시대, 조선의 여진족 학살 조선시대, 조선의 여진족 학살 이 노토 부락은 좌우로 높은 산과 절벽이 있고 마을 안은 매우 넓다. 토지는 비옥하고 그 가운데로 큰 냇물이 흐르며 모든 부락들은 그 물을 끼고 살고 있다. 집들 역시 즐비하며 살림의 넉넉함은 다른 여진 부락과도 비교가 되지 않았다. 평소 여진족들이 그래 왔던 것처럼, 그들 역시 가축에게 풀을 먹이며 곡식을 재배하는 등 평화롭고 목가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런데 사방에서 불화살이 쏟아지더니, 맹렬한 굉음이 온 하늘을 준동하였다. 평화롭던 노토 부락은 금세 아수라장이 되었고, 절벽 위에서 불화살과 대포알이 쏟아졌다. 노토 부락민은 비명을 지르며 즉각 도망가기 시작했고, 마을은 금세 온 비명 소리로 시끄러워졌다. 그리고 거친 말발굽 소리와 함께모래 바람이 하늘을 가리더니, 정.. 역사 2020. 10. 17.
조선 시대, 왕의 북벌 추진과 신하들의 반대 조선 시대, 왕의 북벌 추진과 신하들의 반대 『성상(임금을 높이 부르는 말)이시여, 고구려를 침공하다 패퇴한 당 태종의 고사를 잊으셨습니까!』 당나라 황제 이세민은 청년 시절부터 아버지를 따라 수나라 말기의 여러 전장을 누비며, 마침내 통일 제국 당나라를 세우는 데 크게 일조하였다. 이세민은 수나라 말기의 혼란한 정세 속에서 나타난 여러 군웅들을 토벌하였고, 또한 돌궐을 정벌하고 서역을 원정하는 등 제국의 영향력을 서북방 변경에 떨쳤다. 그러나 이세민은 자신이 성공적으로 완수하지 못한 사업이 있었으니... 그는 10만여 명이 넘는 대병으로 고구려 원정을 감행하였고, 천하의 뛰어난 무장들 역시 원정에 참여하였다. 물론 이때 고구려는 요동 지역의 방어선이 붕괴되는 등 막대한 타격을 입었지만, 이세민은 안시성.. 역사 2020. 10. 16.
조선의 왜구 토벌 작전, 대마도 정벌 조선의 왜구 토벌 작전, 대마도 정벌 왜구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왜구는 '일본인 해적'을 의미한다. 한 정부의 명령에 통제를 받아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군대가 아닌, 그냥 별개의 집단이라는 것이다. 대마도나 일본 본토에 거점을 잡았던 왜구들은 식량이 부족하거나 심심할 때 한반도에 상륙해서 연안 지역에 피해를 줬다. 조선이 나름 대마도 정벌 과정에서 조선군의 피해도 있었지만, 그래도 초기 조선사에 있어서 큰 의의가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다룰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조선의 기본적인 국방 정책은 '왠만하면 평화로 가되, 필요하면 정벌은 한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 주로 여진과 왜구에게 적용되는 방식이었다. (명나라와는 실질적 이익을 담보로 한 실용적 사대 관계) 조선은 고.. 역사 202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