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순신3

임진왜란 당시 기근, 역병, 식량, 추위 임진왜란 당시 기근, 역병, 식량, 추위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지금까지 조선이 맞닥뜨린 왜군의 규모는 수천여 명 수준이었지만, 임진년 변란은 그 유례가 없을 정도로 왜군의 규모는 거대했다. 그 규모는 무려 '약 17만 명'. 그렇다면 당시 조선 왕조엔 어느 정도의 군대가 있었을까? 다음 지도와 함께 조선 왕조의 지역별 군대를 파악해보자. [조선 왕조] 경기도 주둔군 : 19,300명 [조선 왕조] 충청도 주둔군 : 10,800명 [조선 왕조] 강원도 주둔군 : 2,000명 [조선 왕조] 황해도 주둔군 : 8,800명 [조선 왕조] 평안도 주둔군 : 15,300명 [조선 왕조] 함경도 주둔군 : 10,200명 [조선 왕조] 경상도 주둔군 : 77,000명 [조선 왕조] 전라도 주둔군 : 25,000.. 역사 2020. 10. 19.
명량대첩, 133 VS 13 임진왜란 때 미스테리한 전투 명량대첩, 133 VS 13 임진왜란 때 미스테리한 전투 133대 13 누가 봐도 13이 불리한 숫자이며 만약 싸울 경우 10배나 많은 적한테 필패할 것이라고 누구나 예상을 할 것이다. 아니 예상할 필요가 없이 필패이다. 그러나 그 예상을 뒤집은 사람이 존재한다. 눈치가 없는 사람도 알 것이다. 바로 대한민국의 존경하는 인물 1위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다. 명량해전은 이순신 장군의 여러 전투 중 가장 미스터리한 전투가 명량해전이다. 우리는 과연 명량대첩(해전)을 어느 정도 알고 있을까? 혹여 다른 전투로 인해 역사에서 그 비중이 축소된 것은 아닐까? 승리로 이끈 원동력은 무엇일까? 일본군은 왜 전투가 끝난 뒤 재공격을 안 하고 후퇴를 했을까? 그럼 조선 전쟁사 중 가장 미스터리한 해전인 명량 해전을 알아.. 역사 2020. 10. 18.
조선시대, 조선의 여진족 학살 조선시대, 조선의 여진족 학살 이 노토 부락은 좌우로 높은 산과 절벽이 있고 마을 안은 매우 넓다. 토지는 비옥하고 그 가운데로 큰 냇물이 흐르며 모든 부락들은 그 물을 끼고 살고 있다. 집들 역시 즐비하며 살림의 넉넉함은 다른 여진 부락과도 비교가 되지 않았다. 평소 여진족들이 그래 왔던 것처럼, 그들 역시 가축에게 풀을 먹이며 곡식을 재배하는 등 평화롭고 목가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그런데 사방에서 불화살이 쏟아지더니, 맹렬한 굉음이 온 하늘을 준동하였다. 평화롭던 노토 부락은 금세 아수라장이 되었고, 절벽 위에서 불화살과 대포알이 쏟아졌다. 노토 부락민은 비명을 지르며 즉각 도망가기 시작했고, 마을은 금세 온 비명 소리로 시끄러워졌다. 그리고 거친 말발굽 소리와 함께모래 바람이 하늘을 가리더니, 정.. 역사 2020. 10. 17.